안녕하세요 LALA DAY입니다.

오늘은 제일 중요한 한 달 생활비에 대해 알려드릴 건데요!!!

제가 살고 있는 도시가 베를린이기 때문에

베를린 기준으로 알려드릴 거예요~

하지만 집세와 교통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

도시마다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

이점 참고해주시고!!

바로 시작하겠습니다~

 

 

Lass uns anfangen!!!

 

 

 

 

1. 집 월세

제가 살고 있는 집은 한국의 오피스텔 같은 느낌의 분리형 원룸으로

전기세, 수도세, 가스비 다 포함해서 월 552유로입니다~

보증금은 2달 치 월세 비용으로 냈고요!!!

누구는 비싸다 누구는 저렴하다고 하지만

독일 생활 1년 하다 보니 지역대비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~

그 이유는 전기세, 수도세, 가스비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이죠!!

다른 곳들은 포함이 되더라도 저처럼 한도가 없진 않아요~

정해진 양이랄까? 일 년 평균치?를 넘어서 사용하게 되면

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들이 생깁니다~

제가 사는 곳은 그런 추가로 내는 세가 없고

멀지만 나름 역세권이라 적당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~

초기에는 보통 A-B 구역 기준 원룸은 최소 600유로 이상으로 구하게 될 거고

WG(셰어하우스) A-B 구역은 최소 400-500유로 이상으로 구하게 될 거예요!!

진짜 열심히 알아보셔야 할겁니다ㅠㅠ

하지만 후에 독일어를 잘하게 된다거나

재정보증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좀 더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요!!

전기, 수도, 가스 제외 월 500유로 정도의 원룸도 A 구역으로 구할 수 있죠!!

그러니 초기에는 무조건 언어만 목표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~

 

 

 

 

 

2. 방송수신료

독일에 사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내야 하는 세금인

방송수신료 입니다!!!

사실은 안멜둥을 한 사람들은 무조건 내야 하는 세금인데요.

안멜둥을 해도 되고 안 해도 되지만

은행 계좌개설, 인터넷 신청, 비자 변경 등을 하려면

안멜둥을 필수로 해야 해요!!

안멜둥은 거주지 등록을 뜻하는 말이니 꼭 알아두세요~

방송수신료는 안멜둥 후 1-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!!

보통은 집으로 우편이 오지만 1-2개월 정도 기다려도 안 오면

온라인으로 직접 신청하시면 돼요~

신청 시 3개월, 6개월, 1년 치를 선택하시면 되고

직접 송금 또는 자동이체로 지불하게 됩니다~

방송수신료는 월 17.50유로며

WG(셰어)에서 사시는 분은 1명만 내면 되기 때문에

나눠서 내거나 집주인이 부담하니 이점은 꼭 알아두세요~

 

 

 

 

 

3. 인터넷

제가 사는 곳은 인터넷을 따로 신청해야 하는 곳입니다.

기숙사나 학생 스튜디오에는 공유기만 연결하거나

와이파이가 있어서 인터넷이 필요 없지만

인터넷이 없는 곳도 은근 많답니다ㅠㅠ

인터넷을 신청하려면 안멜둥->은행 계좌 개설->인터넷 신청

순서입니다!! 은행 계좌를 개설하려면 안멜둥이 필요하고

인터넷을 신청하려면 은행신용등급이 필요합니다!!

그렇기 때문에 이 루트로 인터넷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.

저는 O2를 사용하고 있고 2년짜리 계약이라

첫 1년은 월 21.98유로 (공유기 대여 비용 포함) 이며

13개월부터는 31.98유로로 오를 예정이랍니다..ㅠㅠ

인터넷은 집마다 들어올 수 있는 선이 있기 때문에

집주인 또는 통신사에 알아보는 게 가장 좋습니다~

 

 

 

 

 

4. 핸드폰

제가 쓰고 있는 통신사는 라이카 모바일이고 프리페이드 유심이에요~

프리페이드 유심은 선불 유심을 말해요!!

선불로 돈을 충전해서 전화, 데이터를 쓰는 방식으로

독일 정착 초기에 많이 쓰는 유심이죠~

사실 한국처럼 개통을 하려면 비자 문제가 있어

초기에는 프리페이드 유심을 사용해야 합니다!!!

라이카 모바일은 엄청 저렴한 통신사로

3G입니다....

저는 Data Flat XS 3GB 요금제를 쓰고 있고

28일 동안 3GB를 사용하고 9.99유로입니다~

그전에는 2GB였는데 3GB로 올랐어요ㅠㅠ

전화는 충전한 금액에서 사용하는 만큼 차감되는데요.

전화비가 사용한 양에 비해 너무 많이 차감되어

전화는 사용 안 하고 있어요!!!

그 외에도 Telekom, Vodafone, O2, ALDI TALK도 있으니

원하시는 통신사로 선택하시면 됩니다~

 

 

 

 

 

5. 교통비

베를린에는 다양한 교통권이 있는데요~

제가 사용하는 교통권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

보통은 Monatskarte 10-Uhr-Karte를 사용해요~

한 달 권으로 오전 10시부터 새벽 3시까지 사용 가능합니다!!

가격은 59.10유로로 오후에 어학원을 다니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~

어학원은 학생 적용이 안되기 때문에

일반 요금으로 적용되는 거 잊지 마세요^^

 

 

 

 

 

6. 은행계좌유지비

어학원을 다닐 때는 융에콘토라서 계좌유지비가 없었는데

어학원이 끝나고 난 후에는 학생 적용이 안되어

콘토유지비용이 따로 빠져나가고 있답니다ㅠㅠ

계좌유지 비용은 3달에 한 번씩 인출되며

월 4.99유로로 총 14.97유로가 1년에 4번 인출됩니다.

이 비용은 은행 계좌 1개에 해당되며

계좌 개수에 따라 유지 비용이 추가된답니다ㅠㅠ

은행별로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알아보고

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추천드려요~

 

 

 

 

 

7. 생활비

독일은 물가가 저렴해요!!! 인건비가 비싸서 그렇지...

개인적으로 마트 가격은 EDEKA > REWE > Kaufland > Lidl

그 외에도 많은 마트가 있지만 저희 동네에 있는 마트만 비교해봤어요~

Lidl은 확실히 저렴하고 세일 상품도 잘 나와서

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 저녁에는 꼭 가고 있고

Kaufland는 대형 매장이라 다양한 종류를

가격대별로 찾아볼 수 있어서 자주 가요!!!!

보통 주 1-2회 가는데 한 번 갈 때 20-30유로 정도 쓰는 것 같고

평균적으로 월 150유로 정도 지출해요!!

개인에 따라 월 100유로로 살 수도 200유로로 살 수도 있지만

쌀 1kg에 1.2유로 정도 하니까 대충 감이 잡히죠?

추후 마트 물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~

 

 

 

 

월세 : 552유로

방송수신료 : 17.50유로

인터넷 : 21.98유로

핸드폰 : 9.99유로

교통비 : 59.10유로

계좌유지비 : 4.99유로

생활비 : 150유로

총 = 815.56유로

 

 

 

참고로 저는 취미활동이나 여행, 유흥을 거의 하지 않는답니다ㅠㅠ

최대한 아끼고 아껴서 한 달에 나가는 금액이 815유로

원화로 환전하면 월 100만 원이 넘는 금액이에요.

이 외에 어학원을 다닌다거나 과외를 한다면

금액이 더 추가되겠죠???

이번에 슈페어콘토비용이 월 720유로에서 월 853로 인상되었어요..

독일에서 월 최저생활비를 853유로로 책정한 건데

제가 사용하고 있는 월 생활비와 비슷하네요ㅠㅠ

앞으로 더 아껴 쓸 수 있는 방법을

한번 찾아봐야겠어요!!!!!

그럼 오늘 하루도

 

 

다들 LALA 한 DAY 되세요^^

 

+ Recent posts